[W11] 사다리에서의 낙상
[D86] 사르코이드증
[B74] 사상충증
[M70] 사용, 과용 및 압박에 관련된 연조직장애
[B52] 사일열원충말라리아
[C40] 사지의 골 및 관절연골의 악성 신생물
[Q74] 사지의 기타 선천기형
[M21] 사지의 기타 후천변형
[A58] 사타구니육아종
[K40] 사타구니탈장
[Z60] 사회적 환경에 관련된 문제
[O88] 산과적 색전증
[O97] 산과적 원인의 후유증에 의한 사망
[A34] 산과적 파상풍
[O65] 산모골반이상으로 인한 난산
[O28] 산모의 출산전 선별검사의 이상소견
[O85] 산후기 패혈증
[O89] 산후기중 마취의 합병증
[O87] 산후기중 정맥합병증 및 치핵
[B51] 삼일열원충말라리아
[G50] 삼차신경의 장애
[U59] 삼초위기영혈병증(三焦衛氣營血病證)
[R13] 삼킴곤란
[J39] 상기도의 기타 질환
[Q40] 상부소화관의 기타 선천기형
[J18] 상세불명 병원체의 폐렴
[B34] 상세불명 부위의 바이러스감염
[A49] 상세불명 부위의 세균감염
[K27] 상세불명 부위의 소화성 궤양
[Q73] 상세불명 사지의 감소결손
[C95] 상세불명 세포형의 백혈병
[T30] 상세불명 신체부위의 화상 및 부식
[P95] 상세불명 원인의 태아사망
[V89] 상세불명 차량형태의 자동차 또는 무동력차 사고
[I38] 상세불명 판막의 심내막염
[X57] 상세불명의 결핍
[J22] 상세불명의 급성 하기도감염
[F39] 상세불명의 기분[정동]장애
[B89] 상세불명의 기생충병
[F09] 상세불명의 기질성 또는 증상성 정신장애
[W19] 상세불명의 낙상
[T07] 상세불명의 다발손상
[E46] 상세불명의 단백질-에너지영양실조
[E14] 상세불명의 당뇨병
[X29] 상세불명의 독액성 동물 또는 식물과 접촉
[J42] 상세불명의 만성 기관지염
[B54] 상세불명의 말라리아
[B19] 상세불명의 바이러스간염
[A86] 상세불명의 바이러스뇌염
[A99] 상세불명의 바이러스출혈열
[K46] 상세불명의 복벽탈장
[F29] 상세불명의 비기질성 정신병
[O16] 상세불명의 산모고혈압
[A64] 상세불명의 성매개질환
[Y09] 상세불명의 수단에 의한 가해
[X84] 상세불명의 수단에 의한 의도적 자해
[N19] 상세불명의 신부전
[N05] 상세불명의 신염증후군
[N23] 상세불명의 신장 급통증
[N26] 상세불명의 신장위축
[T14] 상세불명의 신체부위의 손상
[X09] 상세불명의 연기, 불 및 불꽃에의 노출
[R32] 상세불명의 요실금
[X59] 상세불명의 요인에 노출
[V99] 상세불명의 운수사고
[O95] 상세불명의 원인에 의한 산과적 사망
[B64] 상세불명의 원충병
[O06] 상세불명의 유산
[W74] 상세불명의 익사 및 익수
[B24] 상세불명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B82] 상세불명의 장기생충증
[W87] 상세불명의 전류에 노출
[A94] 상세불명의 절지동물매개 바이러스열
[L25] 상세불명의 접촉피부염
[F79] 상세불명의 정신지체
[E43] 상세불명의 중증 단백질-에너지영양실조
[B49] 상세불명의 진균증
[J64] 상세불명의 진폐증
[K37] 상세불명의 충수염
[F03] 상세불명의 치매
[R31] 상세불명의 혈뇨
[W91] 상세불명의 형태의 방사선에 노출
[X90] 상세불명의 화학물질 또는 독성물질에 의한 가해
[R17] 상세불명의 황달
[B43] 색소진균증 및 피오진균농양
[L81] 색소침착의 기타 장애
[F59] 생리적 장애 및 신체적 요인과 연관된 상세불명의 행동증후군
[Z73] 생활-관리의 어려움에 관련된 문제
[Y98] 생활방식과 관련된 상태
[Z72] 생활양식에 관련된 문제
[B57] 샤가스병
[J61] 석면 및 기타 광섬유에 의한 진폐증
[B75] 선모충증
[V92] 선박사고가 없는 수상운수 관련 익사 및 익수
[A50] 선천매독
[Q80] 선천비늘증
[P35] 선천성 바이러스질환
[Q12] 선천성 수정체기형
[E00] 선천성 요오드결핍증후군
[Q03] 선천수두증
[P23] 선천폐렴
[M72] 섬유모세포장애
[F65] 성선호장애
[C84] 성숙T/NK-세포림프종
[M83] 성인골연화증
[F68] 성인의 인격 및 행동의 기타 장애
[F69] 성인의 인격 및 행동의 상세불명의 장애
[J80] 성인호흡곤란증후군
[F66] 성적 발달과 지향에 관계된 심리적 장애 및 행동장애
[Z70] 성적 태도, 행동 및 지향에 관련된 상담
[F64] 성주체성장애
[Z42] 성형수술을 포함한 추적치료를 위하여 보건서비스와 접하고 있는 사람
[A38] 성홍열
[A15] 세균학적 및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호흡기결핵
[A16] 세균학적으로나 조직학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호흡기결핵
[N25] 세뇨관기능손상으로 인한 장애
[Q02] 소두증
[E42] 소모성 콰시오르코르
[R33] 소변정체
[F98]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 주로 발병하는 기타 행동 및 정서장애
[F94]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만 발병하는 사회적 기능수행장애
[F93] 소아기에만 발병하는 정서장애
[Z61] 소아기의 부정적 일상사건에 관련된 문제
[G14] 소아마비후증후군
[U54] 소양병증(少陽病證)
[U96] 소양인병증(少陽人病證)
[U56] 소음병증(少陰病證)
[W42] 소음에 노출
[U95] 소음인병증(少陰人病證)
[U75] 소장병증(小腸病證)
[Q41] 소장의 선천성 결여, 폐쇄 및 협착
[C17] 소장의 악성 신생물
[C82] 소포성 림프종
[R19] 소화계통 및 복부의 기타 증상 및 징후
[Q45] 소화계통의 기타 선천기형
[K92] 소화계통의 기타 질환
[T18] 소화관속의 이물
[R85] 소화기관 및 복강 검사물의 이상소견
[R12] 속쓰림
[M20] 손가락 및 발가락의 후천변형
[S66] 손목 및 손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64] 손목 및 손 부위의 신경의 손상
[S65] 손목 및 손 부위의 혈관의 손상
[S62] 손목 및 손부위의 골절
[S63] 손목 및 손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T22] 손목 및 손을 제외한 어깨와 팔의 화상 및 부식
[S69] 손목 및 손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손상
[S61] 손목 및 손의 열린상처
[S68] 손목 및 손의 외상성 절단
[S67] 손목 및 손의 으깸손상
[S60] 손목 및 손의 표재성 손상
[T23] 손목 및 손의 화상 및 부식
[L60] 손발톱장애
[W85] 송전선에 노출
[B01] 수두
[G91] 수두증
[A39] 수막구균감염
[C70] 수막의 악성 신생물
[D32] 수막의 양성 신생물
[D42] 수막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G47] 수면장애
[E87] 수분, 전해질 및 산-염기균형의 기타 장애
[W67] 수영장 안에 있는 동안의 익사 및 익수
[W68] 수영장으로 떨어진 후의 익사 및 익수
[H27] 수정체의 기타 장애
[Q81] 수포성 표피박리증
[Z28] 수행되지 못한 예방접종
[Z53] 수행되지 않은 특정 처치를 위해 보건서비스에 접하고 있는 사람
[R09] 순환계통 및 호흡계통의 기타 증상 및 징후
[I99] 순환계통의 기타 및 상세불명의 장애
[Q28] 순환계통의 기타 선천기형
[W02] 스케이트, 스키, 롤러-스케이트 또는 스케이트보드에 의한 낙상
[B42] 스포로트릭스증
[W21] 스포츠장비에 의한 타격
[E75] 스핑고지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축적장애
[F63] 습관 및 충동 장애
[N96] 습관적 유산자
[V2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모터사이클 탑승자
[V7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버스 탑승자
[V0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보행자
[V3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삼륜자동차 탑승자
[V4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승용차 탑승자
[V1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 충돌로 다친 자전거 탑승자
[V6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의 충돌로 다친 대형화물차 탑승자
[V53] 승용차, 픽업트럭 또는 밴과의 충돌로 다친 픽업트럭 또는 밴 탑승자
[H47] 시[제2]신경 및 시각경로의 기타 장애
[H53] 시각장애
[A03] 시겔라증
[O07] 시도된 유산의 실패
[H46] 시신경염
[K20] 식도염
[K22] 식도의 기타 질환
[Q39] 식도의 선천기형
[C15] 식도의 악성 신생물
[I85] 식도정맥류
[X53] 식량부족
[W60] 식물의 가시 및 날카로운 잎사귀와 접촉
[E59] 식사성 셀레늄결핍
[E60] 식사성 아연결핍
[E58] 식사성 칼슘결핍
[F50] 식사장애
[T62] 식품으로 섭취한 기타 유해물질의 독성효과
[R29] 신경계통 및 근골격계통의 기타 증상 및 징후
[A17] 신경계통의 결핵
[Q07] 신경계통의 기타 선천기형
[G54] 신경근 및 신경총 장애
[U71] 신병증(腎病證)
[Z12] 신생물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P91] 신생아 대뇌상태의 기타 장애
[P81] 신생아 체온조절의 기타 장애
[P90] 신생아의 경련
[P94] 신생아의 근긴장도의 장애
[P76] 신생아의 기타 장폐색
[P36] 신생아의 세균패혈증
[P92] 신생아의 수유문제
[P80] 신생아의 저체온증
[P51] 신생아의 탯줄출혈
[P22] 신생아의 호흡곤란
[A33] 신생아파상풍
[P24] 신생아흡인증후군
[C64] 신우를 제외한 신장의 악성 신생물
[Q62] 신우의 선천성 폐색성 결손 및 요관의 선천기형
[C65] 신우의 악성 신생물
[N20] 신장 및 요관의 결석
[Q60] 신장무발생 및 신장의 기타 감소결손
[Q63] 신장의 기타 선천기형
[N04] 신증후군
[F45] 신체형장애
[J62] 실리카를 함유한 먼지에 의한 진폐증
[H54] 실명을 포함한 시력장애(양안의 또는 단안의)
[R55] 실신 및 허탈
[I42] 심근병증
[F88] 심리적 발달의 기타 장애
[F89] 심리적 발달의 상세불명의 장애
[I48] 심방세동 및 조동
[I50] 심부전
[U67] 심실증(心實證)
[R01] 심잡음 및 기타 심음
[Z95] 심장 및 혈관 삽입물 및 이식편의 존재
[T82] 심장 및 혈관 인공삽입장치, 삽입물 및 이식편의 합병증
[Q20] 심장 방실 및 연결의 선천기형
[I01] 심장 침범이 있는 류마티스열
[C38] 심장, 종격 및 흉막의 악성 신생물
[I31] 심장막의 기타 질환
[R00] 심장박동의 이상
[I51] 심장병의 불명확한 기록 및 합병증
[Q24] 심장의 기타 선천기형
[S26] 심장의 손상
[I46] 심장정지
[Q21] 심장중격의 선천기형
[I00] 심장침범에 대한 언급이 없는 류마티스열
[F43] 심한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적응장애
[U66] 심허증(心虛證)
[K26] 십이지장궤양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