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97] Ulcer of lower limb,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다리의 궤양
[K51] Ulcerative colitis - 궤양성 대장염
[P51] Umbilical haemorrhage of newborn - 신생아의 탯줄출혈
[K42] Umbilical hernia - 배꼽탈장
[R98] Unattended death - 지켜본 사람이 없었던 사망
[Q53] Undescended testicle - 미하강고환
[Y60] Unintentional cut, puncture, perforation or haemorrhage during surgical and medical care
-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생긴 비의도적 절단, 천자, 천공 또는 출혈
[R69] Unknown and unspecified causes of morbidity - 미상 및 상세불명의 병인
[K46] Unspecified abdominal hernia - 상세불명의 복벽탈장
[O06] Unspecified abortion - 상세불명의 유산
[J22] Unspecified acute lower respiratory infection - 상세불명의 급성 하기도감염
[K37] Unspecified appendicitis - 상세불명의 충수염
[A94] Unspecified arthropod-borne viral fever - 상세불명의 절지동물매개 바이러스열
[F59] Unspecified behavioural syndromes associated with physiological disturbances and physical factors
- 생리적 장애 및 신체적 요인과 연관된 상세불명의 행동증후군
[J42] Unspecified chronic bronchitis - 상세불명의 만성 기관지염
[L25] Unspecified contact dermatitis - 상세불명의 접촉피부염
[N26] Unspecified contracted kidney - 상세불명의 신장위축
[F03] Unspecified dementia - 상세불명의 치매
[E14] Unspecified diabetes mellitus - 상세불명의 당뇨병
[F69] Unspecified disorder of adult personality and behaviour
- 성인의 인격 및 행동의 상세불명의 장애
[F89] Unspecified disorder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 심리적 발달의 상세불명의 장애
[W74] Unspecified drowning and submersion - 상세불명의 익사 및 익수
[T66] Unspecified effects of radiation - 방사선의 상세불명의 영향
[Y34] Unspecified event,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상세불명의 사건
[W19] Unspecified fall - 상세불명의 낙상
[R31] Unspecified haematuria - 상세불명의 혈뇨
[B24] Unspecified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disease
- 상세불명의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병
[B82] Unspecified intestinal parasitism - 상세불명의 장기생충증
[R17] Unspecified jaundice - 상세불명의 황달
[N19] Unspecified kidney failure - 상세불명의 신부전
[N63] Unspecified lump in breast - 유방의 상세불명의 덩이
[B54] Unspecified malaria - 상세불명의 말라리아
[O16] Unspecified maternal hypertension - 상세불명의 산모고혈압
[F79] Unspecified mental retardation - 상세불명의 정신지체
[Y69] Unspecified misadventures during surgical and medical care
-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 중 상세불명의 재난
[F39] Unspecified mood[affective] disorder - 상세불명의 기분[정동]장애
[T07] Unspecified multiple injuries - 상세불명의 다발손상
[B49] Unspecified mycosis - 상세불명의 진균증
[N05] Unspecified nephritic syndrome - 상세불명의 신염증후군
[F29] Unspecified nonorganic psychosis - 상세불명의 비기질성 정신병
[F09] Unspecified organic or symptomatic mental disorder
- 상세불명의 기질성 또는 증상성 정신장애
[B89] Unspecified parasitic disease - 상세불명의 기생충병
[J64] Unspecified pneumoconiosis - 상세불명의 진폐증
[X57] Unspecified privation - 상세불명의 결핍
[E46] Unspecified protein-energy malnutrition - 상세불명의 단백질-에너지영양실조
[B64] Unspecified protozoal disease - 상세불명의 원충병
[N23] Unspecified renal colic - 상세불명의 신장 급통증
[E43] Unspecified severe protein-energy malnutrition - 상세불명의 중증 단백질-에너지영양실조
[A64] Unspecified sexually transmitted disease - 상세불명의 성매개질환
[W84] Unspecified threats to breathing - 호흡의 상세불명 위협
[V99] Unspecified transport accident - 상세불명의 운수사고
[R32] Unspecified urinary incontinence - 상세불명의 요실금
[A86] Unspecified viral encephalitis - 상세불명의 바이러스뇌염
[A99] Unspecified viral haemorrhagic fever - 상세불명의 바이러스출혈열
[B19] Unspecified viral hepatitis - 상세불명의 바이러스간염
[B09] Unspecified viral infection characterized by skin and mucous membrane lesions
- 피부 및 점막병변이 특징인 상세불명의 바이러스감염
[A89] Unspecified viral infection of central nervous system
- 중추신경계통의 상세불명의 바이러스감염
[R36] Urethral discharge - 요도분비물
[N37] Urethral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요도장애
[N35] Urethral stricture - 요도협착
[N34] Urethritis and urethral syndrome - 요도염 및 요도증후군
[L50] Urticaria - 두드러기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