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70] Salpingitis and oophoritis - 난관염 및 난소염
[D86] Sarcoidosis - 사르코이드증
[B86] Scabies - 옴
[A38] Scarlet fever - 성홍열
[B65] Schistosomiasis [bilharziasis] - 주혈흡충증
[F25] Schizoaffective disorders - 조현정동장애
[F20] Schizophrenia - 조현병
[F21] Schizotypal disorder - 조현형장애
[M41] Scoliosis - 척주측만증
[L21] Seborrhoeic dermatitis - 지루피부염
[L82] Seborrhoeic keratosis - 지루각화증
[C77] Secondary and unspecified malignant neoplasm of lymph nodes
- 림프절의 이차성 및 상세불명의 악성 신생물
[I15] Secondary hypertension - 이차성 고혈압
[C79]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other and unspecified sites
- 기타 및 상세불명 부위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C78] Secondary malignant neoplasm of respiratory and digestive organs
- 호흡 및 소화기관의 이차성 악성 신생물
[G21] Secondary parkinsonism - 이차성 파킨슨증
[Y47] Sedatives, hypnotics and antianxiety drug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진정제, 수면제 및 항불안제
[H25] Senile cataract - 노년백내장
[R54] Senility - 노쇠
[T95] Sequelae of burns, corrosions and frostbite - 화상, 부식 및 동상의 후유증
[I69] Sequelae of cerebrovascular disease - 뇌혈관질환의 후유증
[O94] Sequelae of complication of pregnancy, childbirth and the puerperium
- 임신, 출산 및 산후기 합병증의 후유증
[E68] Sequelae of hyperalimentation - 과영양의 후유증
[G09] Sequelae of inflammatory diseases of central nervous system
- 중추신경계통의 염증성 질환의 후유증
[T94] Sequelae of injuries involving multiple and unspecified body regions
- 다발성 및 상세불명의 신체부위를 침범한 손상의 후유증
[T90] Sequelae of injuries of head - 머리손상의 후유증
[T93] Sequelae of injuries of lower limb - 다리손상의 후유증
[T91] Sequelae of injuries of neck and trunk - 목 및 몸통 손상의 후유증
[T92] Sequelae of injuries of upper limb - 팔손상의 후유증
[Y87] Sequelae of intentional self- harm, assault and events of undetermined intent
- 의도적 자해, 가해 및 의도 미확인 사건의 후유증
[B92] Sequelae of leprosy - 나병의 후유증
[E64] Sequelae of malnutrition and other nutritional deficiencies
- 영양실조 및 기타 영양결핍의 후유증
[Y86] Sequelae of other accidents - 기타 사고의 후유증
[T98] Sequelae of other and unspecified effects of external causes
- 외인의 기타 및 상세불명 영향의 후유증
[B94] Sequelae of other and unspecified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의 후유증
[Y89] Sequelae of other external causes - 기타 외인의 후유증
[T96] Sequelae of poisoning by drugs, medicaments and biological substances
-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의 후유증
[B91] Sequelae of poliomyelitis - 회색질척수염의 후유증
[T97] Sequelae of toxic effects of substances chiefly nonmedicinal as to source
- 출처가 주로 비의약품인 물질의 독성효과의 후유증
[Y85] Sequelae of transport accidents - 운수사고의 후유증
[B90] Sequelae of tuberculosis - 결핵의 후유증
[Y88] Sequelae with surgical and medical care as external cause
- 외인으로서의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의 후유증
[M05] Seropositive rheumatoid arthritis - 혈청검사양성 류마티스관절염
[U04]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SARS] - 중증급성호흡증후군[SARS]
[F72] Severe mental retardation - 중증 정신지체
[Y05] Sexual assault by bodily force - 완력에 의한 성적 학대
[F52] Sexual dysfunction, not caused by organic disorder or disease
- 기질성 장애나 질병에 의하지 않은 성기능장애
[A03] Shigellosis - 시겔라증
[R57] Shock,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쇼크
[M75] Shoulder lesions - 어깨병변
[D57] Sickle-cell disorders - 낫적혈구장애
[J41] Simple and mucopurulent chronic bronchitis - 단순성 및 점액화농성 만성 기관지염
[O82] Single delivery by caesarean section - 제왕절개에 의한 단일분만
[O81] Single delivery by forceps and vacuum extractor - 집게 및 진공흡착기에 의한 단일분만
[O80] Single spontaneous delivery - 단일자연분만
[L57] Skin changes due to chronic exposure to nonionizing radiation
- 비이온화방사선 만성 노출에 의한 피부변화
[G47] Sleep disorders - 수면장애
[P05] Slow fetal growth and fetal malnutrition - 태아성장지연 및 태아영양실조
[U75] Small intestine disease pattern - 소장병증(小腸病證)
[N27] Small kidney of unknown cause - 원인불명의 작은 신장
[B03] Smallpox - 마마
[U95] Soeumin disease pattern - 소음인병증(少陰人病證)
[M73] Soft tissue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연조직장애
[M70] Soft tissue disorders related to use, overuse and pressure
- 사용, 과용 및 압박에 관련된 연조직장애
[F45] Somatoform disorders - 신체형장애
[R40] Somnolence, stupor and coma - 기면, 혼미 및 혼수
[U96] Soyangin disease pattern - 소양인병증(少陽人病證)
[Z11] Special screening examination for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Z12] Special screening examination for neoplasms - 신생물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Z13] Special screening examination for other diseases and disorders
- 기타 질환 및 장애에 대한 특수선별검사
[F82] Specific developmental disorder of motor function
- 운동기능의 특정 발달장애
[F81] Specific developmental disorders of scholastic skills
- 학습술기의 특정 발달장애
[F80] Specific developmental disorders of speech and language
- 말하기와 언어의 특정 발달장애
[F60] Specific personality disorders - 특정 인격장애
[R47] Speech disturbance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언어장애
[Q05] Spina bifida - 이분척추
[G12] Spinal muscular atrophy and related syndromes - 척수성 근위축 및 관련 증후군
[M42] Spinal osteochondrosis - 척추골연골증
[U68] Spleen disease pattern - 비병증(脾病證)
[M49] Spondylopathie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척추병증
[M47] Spondylosis - 척추증
[O03] Spontaneous abortion - 자연유산
[M66] Spontaneous rupture of synovium and tendon - 윤활막 및 힘줄의 자연파열
[B42] Sporotrichosis - 스포로트릭스증
[A77] Spotted fever [tick-borne rickettsioses] - 홍반열[진드기매개 리케차병]
[L00]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 포도구균성 화상피부증후군
[J46] Status asthmaticus - 천식지속상태
[G41] Status epilepticus - 뇌전증지속상태
[U73] Stomach disease pattern - 위병증(胃病證)
[K12] Stomatitis and related lesions - 구내염 및 관련 병변
[A40] Streptococcal sepsis - 연쇄구균패혈증
[B95] Streptococcus and staphylococcus as the cause of diseases classified to other chapters
- 다른 장에서 분류된 질환의 원인으로서의 연쇄구균 및 포도구균
[W51] Striking against or bumped into another person - 타인과 부딪힘 또는 받힘
[W22] Striking against or struck by other obiects - 다른 물체에 의한 타격
[W21] Striking against or struck by sports equipment - 스포츠장비에 의한 타격
[I64] Stroke, not specified as haemorrhage or infarction
- 출혈 또는 경색증으로 명시되지 않은 뇌졸중
[B78] Strongyloidiasis - 분선충증
[W20] Struck by thrown, projected or falling object - 던져진, 쏘아진 또는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타격
[I60] Subarachnoid haemorrhage - 지주막하출혈
[E02] Subclinical iodine-deficiency hypothyroidism - 무증상 요오드결핍성 갑상선기능저하증
[I22] Subsequent myocardial infarction - 후속심근경색증
[R95] Sudden infant death syndrome - 영아돌연사증후군
[L55] Sunburn - 일광화상
[T33] Superficial frostbite involving multiple body regions(T35.0)
- 표재성 동상
[T00] Superficial injuries involving multiple body regions
-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표재성 손상
[S30] Superficial injury of abdomen, lower back and pelvis
- 복부, 아래등 및 골반의 표재성 손상
[S90] Superficial injury of ankle and foot - 발목 및 발의 표재성 손상
[S50] Superficial injury of forearm - 아래팔의 표재성 손상
[S00] Superficial injury of head - 머리의 표재성 손상
[S70] Superficial injury of hip and thigh - 엉덩이 및 대퇴의 표재성 손상
[S80] Superficial injury of lower leg - 아래다리의 표재성 손상
[S10] Superficial injury of neck - 목의 표재성 손상
[S40] Superficial injury of shoulder and upper arm - 어깨 및 위팔의 표재성 손상
[S20] Superficial injury of thorax - 흉부의 표재성 손상
[S60] Superficial injury of wrist and hand - 손목 및 손의 표재성 손상
[Z35] Supervision of high-risk pregnancy - 고위험임신의 관리
[Z34] Supervision of normal pregnancy - 정상임신의 관리
[H66] Suppurative and unspecified otitis media with myringitis
- 화농성 및 상세불명의 중이염
[Y83] Surgical operation and other surgical procedures as the cause of abnormal reaction of the patient, or of later complication, without mention of misadventure at the time of the procedure
- 처치 당시에는 재난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나 환자의 이상반응 또는 이후 합병증의 원인이 된 외과적 수술 및 기타 외과적 처치
[R63] Symptoms and signs concerning food and fluid intake
- 음식 및 수액 섭취에 관계된 증상 및 징후
[R46] Symptoms and signs involving appearance and behaviour
- 외양 및 행동에 관련된 증상 및 징후
[R45] Symptoms and signs involving emotional state - 정서상태에 관련된 증상 및 징후
[R55] Syncope and collapse - 실신 및 허탈
[Q70] Syndactyly - 합지증
[M65] Synovitis and tenosynovitis - 윤활막염 및 힘줄윤활막염
[Y40] Systemic antibiotic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전신항생제
[G13] Systemic atrophies primarily affecting central nervous system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일차적으로 중추신경계통에 영향을 주는 계통성 위축
[M36] Systemic disorders of connective tissue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결합조직의 전신장애
[R65] Systemic Inflammatory Response Syndrome - 전신염증반응증후군
[M32]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전신홍반루푸스
[M34] Systemic sclerosis - 전신경화증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