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60] Nail disorders - 손발톱장애
[L62] Nail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손발톱장애
[J33] Nasal polyp - 코폴립
[R11] Nausea and vomiting - 구역 및 구토
[P77] Necrotizing enterocolitis of fetus and newborn - 태아 및 신생아의 괴사성 장결장염
[Z25] Need for immunization against other single viral diseases
- 기타 단일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예방접종의 필요
[Z27] Need for immunization against combinations of infectious diseases
- 감염성 질환의 복합에 대한 예방접종의 필요
[Z24] Need for immunization against certain single viral diseases
- 특정한 단일 바이러스질환에 대한 예방접종의 필요
[Z26] Need for immunization against other single infectious diseases
- 기타 단일 감염성 질환에 대한 예방접종의 필요
[Z23] Need for immunization against single bacterial diseases
- 단일 세균성 질환에 대한 예방접종의 필요
[Z29] Need for other prophylactic measures - 기타 예방적 조치의 필요
[Y06] Neglect and abandonment - 방치 및 유기
[P24] Neonatal aspiration syndromes - 신생아흡인증후군
[P58] Neonatal jaundice due to other excessive haemolysis
- 기타 과다용혈로 인한 신생아황달
[P59] Neonatal jaundice from other and unspecified cause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원인으로 인한 신생아황달
[D43]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brain and central nervous system
- 뇌 및 중추신경계통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4]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endocrine glands
- 내분비선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39]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female genital organs
- 여성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0]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male genital organs
- 남성생식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2]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meninges
- 수막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38]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middle ear and respiratory and intrathoracic organs
- 중이, 호흡기관, 흉곽내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37]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oral cavity and digestive organs
- 구강 및 소화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8]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other and unspecified sites
- 기타 및 상세불명 부위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D41] Neoplasm of uncertain or unknown behaviour of urinary organs
- 비뇨기관의 행동양식 불명 또는 미상의 신생물
[N04] Nephrotic syndrome - 신증후군
[G55] Nerve root and plexus compression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신경근 및 신경총 압박
[G54] Nerve root and plexus disorders - 신경근 및 신경총 장애
[Y75] Neurological devices associated with adverse incidents
- 유해사건과 관련된 신경과적 장치
[N31] Neuromuscular dysfunction of bladder,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방광의 신경근육기능장애
[E52] Niacin deficiency[Pellagra] - 니아신결핍[펠라그라]
[A43] Nocardiosis - 노카르디아증
[C83] Non-follicular lymphoma - 비소포성 림프종
[Y66] Nonadministration of surgical and medical care - 외과적 및 내과적 치료의 불이행
[E15] Nondiabetic hypoglycaemic coma - 비당뇨병성 저혈당성 혼수
[N83] Noninflammatory disorders of ovary, fallopian tube and broad ligament
- 난소, 난관 및 넓은인대의 비염증성 장애
[F51] Nonorganic sleep disorders - 비기질성 수면장애
[I35] Nonrheumatic aortic valve disorders - 비류마티스성 대동맥판장애
[I34] Nonrheumatic mitral valve disorders - 비류마티스성 승모판장애
[I36] Nonrheumatic tricuspid valve disorders - 비류마티스성 삼첨판장애
[I88] Nonspecific lymphadenitis - 비특이성 림프절염
[H65] Nonsuppurative otitis media - 비화농성 중이염
[V88] Nontraffic accident of specified type but victim’s mode of transport unknown
- 피해자의 교통수단을 알지 못하는 명시된 형태의 비교통사고
[A65] Nonvenereal syphilis - 비성병성 매독
[Y95] Nosocomial condition - 병원과 관련된 상태
[E90] Nutritional and metabolic disorder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영양 및 대사 장애
[E41] Nutritional marasmus - 영양성 소모증
[H55] Nystagmus and other irregular eye movements - 안진 및 기타 불규칙적 눈운동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