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28] Immunization not carried out - 수행되지 못한 예방접종
[D82] Immunodeficiency associated with other major defects
- 기타 주요 결손과 관련된 면역결핍
[D80] Immunodeficiency with predominantly antibody defects
- 항체결손이 현저한 면역결핍
[L01] Impetigo - 농가진
[Q56] Indeterminate sex and pseudohermaphroditism - 불확정 성 및 거짓반음양증
[F24] Induced delusional disorder - 유도망상장애
[A31] Infection due to other mycobacteria - 기타 형태의 마이코박테리아에 의한 감염
[O91] Infections of breast associated with childbirth - 출산과 관련된 유방의 감염
[O23] Infections of genitourinary tract in pregnancy - 임신중 비뇨생식관의 감염
[B27] Infectious mononucleosis - 감염성 단핵구증
[N72] Inflammatory disease of cervix uteri - 자궁경부의 염증성 질환
[N71] Inflammatory disease of uterus, except cervix - 자궁경부를 제외한 자궁의 염증성 질환
[N41] Inflammatory diseases of prostate - 전립선의 염증성 질환
[N61] Inflammatory disorders of breast - 유방의 염증성 장애
[N49] Inflammatory disorders of male genital organ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남성생식기관의 염증성 장애
[G61] Inflammatory polyneuropathy - 염증성 다발신경병증
[J10] Influenza due to identified seasonal influenza virus
- 확인된 계절성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J09] Influenza due to identified zoonotic or pandemic influenza virus
- 확인된 동물매개 또는 범유행 인플루엔자바이러스에 의한 인플루엔자
[J11] Influenza, virus not identified - 바이러스가 확인되지 않은 인플루엔자
[K40] Inguinal hernia - 사타구니탈장
[W79] Inhalation and ingestion of food causing obstruction of respiratory tract
- 기도폐색의 원인이 된 음식물의 흡입 및 섭취
[W80] Inhalation and ingestion of other objects causing obstruction of respiratory tract
- 기도의 폐색의 원인이 된 기타 물건의 흡입 및 섭취
[W78] Inhalation of gastric contents - 위 내용물의 흡입
[S35] Injury of blood vessels at abdomen, lower back and pelvis level
- 복부, 아래등 및 골반 부위의 혈관의 손상
[S95] Injury of blood vessels at ankle and foot level - 발목 및 발 부위의 혈관의 손상
[S55] Injury of blood vessels at forearm level - 아래팔 부위의 혈관의 손상
[S75] Injury of blood vessels at hip and thigh level -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혈관의 손상
[S85] Injury of blood vessels at lower leg level - 아래다리 부위의 혈관의 손상
[S15] Injury of blood vessels at neck level - 목부위의 혈관의 손상
[S45] Injury of blood vessels at shoulder and upper arm level
- 어깨 및 위팔 부위의 혈관의 손상
[S65] Injury of blood vessels at wrist and hand level - 손목 및 손 부위의 혈관의 손상
[S25] Injury of blood vessels of thorax - 흉부 혈관의 손상
[S04] Injury of cranial nerves - 뇌신경의 손상
[S05] Injury of eye and orbit - 눈 및 안와의 손상
[S26] Injury of heart - 심장의 손상
[S36] Injury of intra-abdominal organs - 복강내기관의 손상
[S96] Injury of muscle and tendon at ankle and foot level
- 발목 및 발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56] Injury of muscle and tendon at forearm level - 아래팔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76] Injury of muscle and tendon at hip and thigh level
-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86] Injury of muscle and tendon at lower leg level - 아래다리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16] Injury of muscle and tendon at neck level - 목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46] Injury of muscle and tendon at shoulder and upper arm level
- 어깨 및 위팔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66] Injury of muscle and tendon at wrist and hand level
- 손목 및 손 부위의 근육 및 힘줄의 손상
[S34] Injury of nerves and lumbar spinal cord at abdomen, lower back and pelvis level
- 복부, 아래등 및 골반 부위의 신경 및 허리척수의 손상
[S14] Injury of nerves and spinal cord at neck level - 목부위의 신경 및 척수의 손상
[S24] Injury of nerves and spinal cord at thorax level - 흉부부위의 신경 및 척수의 손상
[S94] Injury of nerves at ankle and foot level - 발목 및 발 부위의 신경의 손상
[S54] Injury of nerves at forearm level - 아래팔 부위의 신경의 손상
[S74] Injury of nerves at hip and thigh level - 엉덩이 및 대퇴 부위의 신경의 손상
[S84] Injury of nerves at lower leg level - 아래다리 부위의 신경손상
[S44] Injury of nerves at shoulder and upper arm level - 어깨 및 위팔 부위의 신경의 손상
[S64] Injury of nerves at wrist and hand level - 손목 및 손 부위의 신경의 손상
[S27] Injury of other and unspecified intrathoracic organ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흉곽내기관의 손상
[T14] Injury of unspecified body region - 상세불명의 신체부위의 손상
[S37] Injury of urinary and pelvic organs - 비뇨 및 골반 기관의 손상
[X63] Intentional self-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drugs acting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자율신경계통에 작용하는 기타 약물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83] Intentional self-harm by other specified means - 기타 명시된 수단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9] Intentional self-harm by blunt object - 둔한 물체에 의한 의도적 자해
[X82] Intentional self-harm by crashing of motor vehicle
- 자동차의 충돌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1] Intentional self-harm by drowning and submersion - 익사 및 익수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5] Intentional self-harm by explosive material - 폭발성 물질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2] Intentional self-harm by handgun discharge - 권총발사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0] Intentional self-harm by hanging, strangulation and suffocation
- 목맴, 교액 및 질식에 의한 의도적 자해
[X80] Intentional self-harm by jumping from a high place
- 높은 곳에서 뛰어내림에 의한 의도적 자해
[X81] Intentional self-harm by jumping or lying before moving object
- 움직이는 물체 앞에 뛰어들거나 누움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4] Intentional self-harm by other and unspecified firearm discharge
-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기발사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3] Intentional self-harm by rifle, shotgun and larger firearm discharge
- 라이플, 엽총 및 기타 큰 화기발사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8] Intentional self-harm by sharp object - 예리한 물체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6] Intentional self-harm by smoke, fire and flames - 연기, 불 및 불꽃에 의한 의도적 자해
[X77] Intentional self-harm by steam, hot vapours and hot objects
- 증기, 뜨거운 김 및 뜨거운 물체에 의한 의도적 자해
[X84] Intentional self-harm by unspecified means - 상세불명의 수단에 의한 의도적 자해
[X65]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alcohol
- 알콜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61]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antiepileptic, sedative-hypnotic, antiparkinsonism and psychotropic drug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항뇌전증제, 진정제-수면제, 항파킨슨제 및 정신작용제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62]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narcotics and psychodysleptics [hallucinogen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마약 및 환각제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60]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nonopioid analgesics, antipyretics and antirheumatics
- 비아편유사진통제, 해열제, 항류마티스제에 의한 자의적 중독 및 노출
[X66]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and their vapours
- 유기용제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그 휘발물질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69]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and unspecified chemicals and noxious substance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학물질 및 독성물질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64]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and unspecified drugs, medicaments and biological substance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67]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gases and vapours
- 기타 가스 및 휘발성 물질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X68] Intentional self-poisoning by and exposure to pesticides
-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M23] Internal derangement of knee - 무릎의 내부장애
[P25] Interstitial emphysema and related conditions originating in the perinatal period
- 출생전후기에 기원한 간질성 폐기종 및 관련 병태
[K90] Intestinal malabsorption - 장흡수장애
[I61] Intracerebral haemorrhage - 뇌내출혈
[G06] Intracranial and intraspinal abscess and granuloma
- 두개내 및 척추내 농양 및 육아종
[G07] Intracranial and intraspinal abscess and granuloma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두개내 및 척추내 농양 및 육아종
[G08] Intracranial and intraspinal phlebitis and thrombophlebitis
- 두개내 및 척추내 정맥염 및 혈전정맥염
[S06] Intracranial injury - 두개내손상
[P10] Intracranial laceration and haemorrhage due to birth injury
- 출산손상으로 인한 두개내 열상 및 출혈
[P52] Intracranial nontraumatic haemorrhage of fetus and newborn
- 태아 및 신생아의 두개내 비외상성 출혈
[P20] Intrauterine hypoxia - 자궁내저산소증
[E01] Iodine-deficiency-related thyroid disorders and allied conditions
- 요오드결핍과 관련된 갑상선장애 및 동류의 병태
[H20] Iridocyclitis - 홍채섬모체염
[D50] Iron deficiency anaemia - 철결핍빈혈
[K58] Irritable bowel syndrome - 과민대장증후군
[L24] Irritant contact dermatitis - 자극물접촉피부염
[R80] Isolated proteinuria - 고립된 단백뇨
[N06] Isolated proteinuria with specified morphological lesion
- 명시된 형태학적 병변을 동반한 고립된 단백뇨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