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96] Death from any obstetric cause occurring more than 42days but less than one year after delivery
- 분만후 42일 초과 1년 이내에 일어난 모든 산과적 원인에 의한 사망
[O97] Death from sequelae of obstetric causes - 산과적 원인의 후유증에 의한 사망
[L89] Decubitus ulcer and pressure area - 욕창궤양 및 압박부위
[E53] Deficiency of other B group vitamins - 기타 비타민B군의 결핍
[E61] Deficiency of other nutrient elements - 기타 영양소의 결핍
[F05] Delirium, not induced by alcohol and other psychoactive substances
- 알콜 및 기타 정신활성물질에 의하여 유발된 것이 아닌 섬망
[F00] Dementia in Alzheimer’s disease(G30.-†) - 알츠하이머병에서의 치매(G30.-+)
[F02] Dementia in other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치매
[A97] Dengue is a viral disease transmitted by bite of mosquito infected by dengue viruses. It is one disease entity with different clinical presentations and often with unpredictable clinica evolution and outcome. Most patients recover following a self-limiting non severe clinical course like nausea vomiting, rash, aches and pains, but a small proportion progress to severe disease, mostly characterized by plasma leakage with or without haemorrhage, although severe haemorrhages or severe organ impairment can occur, with or without dengue shock.
- 뎅기
[K02] Dental caries - 치아우식
[K07] Dentofacial anomalies [including malocclusion] - 치아얼굴이상[부정교합포함]
[Z99] Dependence on enabling machines and device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능성 기계 및 장치에 대한 의존
[F32] Depressive episode - 우울에피소드
[L27] Dermatitis due to substances taken internally - 내부로 섭취된 물질에 의한 피부염
[B35] Dermatophytosis - 백선증
[M33] Dermatopolymyositis - 피부다발근염
[O24] Diabetes mellitus in pregnancy - 임신중 당뇨병
[L22] Diaper [napkin] dermatitis - 기저귀[냅킨]피부염
[K44] Diaphragmatic hernia - 횡격막탈장
[E58] Dietary calcium deficiency - 식사성 칼슘결핍
[E59] Dietary selenium deficiency - 식사성 셀레늄결핍
[E60] Dietary zinc deficiency - 식사성 아연결핍
[A36] Diphtheria - 디프테리아
[B70] Diphyllobothriasis and sparganosis - 열두조충증 및 고충증
[M01] Direct infections of joint in infectious and parasitic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감염성 및 기생충성 질환에서의 관절의 직접감염
[W34] Discharge from other and unspecifed firearm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기발사
[W39] Discharge of firework - 불꽃발사
[U61] Disease pattern of Blood - 혈병증(血病證)
[U63] Disease Pattern of Fluid-Homor - 진액병증(津液病證)
[U60] Disease pattern of Qi - 기병증(氣病證)
[U62] Disease pattern of Qi-Blood-Yin-Yang - 기혈음양병증(氣血陰陽病證)
[U50] Disease Pattern of Six Excesses - 육음병증(六淫病證)
[U77] Disease pattern of thoroughfare, conception vessels and uterus
- 충임포궁병증(衝任胞宮病證)
[U59] Disease Pattern of Triple Energizer and Defense-Qi-Nutrient-Blood
- 삼초위기영혈병증(三焦衛氣營血病證)
[N75] Diseases of Bartholin’s gland - 바르톨린선의 질환
[I78] Diseases of capillaries - 모세혈관의 질환
[K04] Diseases of pulp and periapical tissues - 치수 및 근단주위조직의 질환
[K11] Diseases of salivary glands - 침샘의 질환
[D73] Diseases of spleen - 비장의 질환
[E32] Diseases of thymus - 흉선의 질환
[K14] Diseases of tongue - 혀의 질환
[J38] Diseases of vocal cords and larynx,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성대 및 후두의 질환
[S7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 and ligaments of hip
- 고관절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9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at ankle and foot level
- 발목 및 발 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1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at neck level
- 목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6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at wrist and hand level
- 손목 및 손부위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5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of elbow
- 팔꿈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0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of head
- 머리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8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of knee
- 무릎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3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of lumbar spine and pelvis
- 요추 및 골반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4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of shoulder girdle
- 견갑대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S23] Dislocation, sprain and strain of joints and ligaments of thorax
- 흉곽의 관절 및 인대의 탈구, 염좌 및 긴장
[T03] Dislocations, sprains and strains involving multiple body regions
- 여러 신체부위를 침범한 탈구, 염좌 및 긴장
[E70] Disorders of aromatic amino-acid metabolism - 방향족아미노산대사장애
[I79] Disorders of arteries, arterioles and capillarie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동맥, 세동맥 및 모세혈관의 장애
[G90] Disorders of autonomic nervous system - 자율신경계통의 장애
[E71] Disorders of branched-chain amino-acid metabolism and fatty-acid metabolism
- 측쇄아미노산 및 지방산 대사장애
[H13] Disorders of conjunctiva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결막의 장애
[M84] Disorders of continuity of bone - 골연속성의 장애
[E35] Disorders of endocrine gland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내분비선장애
[H62] Disorders of external ear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외이의 장애
[H03] Disorders of eyelid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눈꺼풀의 장애
[K87] Disorders of gallbladder, biliary tract and pancrea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담낭, 담도 및 췌장의 장애
[H44] Disorders of globe - 안구의 장애
[E77] Disorders of glycoprotein metabolism - 당단백질대사장애
[E76] Disorders of glycosaminoglycan meta- bolism - 글리코사미노글라이칸대사장애
[H22] Disorders of iris and ciliary body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홍채 및 섬모체의 장애
[H04] Disorders of lacrimal system - 눈물계통의 장애
[H06] Disorders of lacrimal system and orbit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눈물계통 및 안와의 장애
[E78] Disorders of lipoprotein metabolism and other lipidaemias
- 지질단백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증
[N51] Disorders of male genital organ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남성생식기관의 장애
[E83] Disorders of mineral metabolism - 무기질대사장애
[M63] Disorders of muscle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근육장애
[P94] Disorders of muscle tone of newborn - 신생아의 근긴장도의 장애
[G73] Disorders of myoneural junction and muscle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신경근접합부 및 근육의 장애
[K23] Disorders of oesophagu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식도의 장애
[H48] Disorders of optic[2nd] nerve and visual pathway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시[제2]신경 및 시각경로의 장애
[H05] Disorders of orbit - 안와의 장애
[G52] Disorders of other cranial nerves - 기타 뇌신경의 장애
[K93] Disorders of other digestive organs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기타 소화기관장애
[M22] Disorders of patella - 무릎뼈의 장애
[K67] Disorders of peritoneum in infectious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감염성 질환에서의 복막의 장애
[E80] Disorders of porphyrin and bilirubin meta- bolism
- 포르피린 및 빌리루빈 대사장애
[E30] Disorders of puberty,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사춘기의 장애
[E79] Disorders of purine and pyrimidine metabolism - 퓨린 및 피리미딘의 대사장애
[H52] Disorders of refraction and accommodation - 굴절 및 조절의 장애
[H15] Disorders of sclera - 공막의 장애
[H19] Disorders of sclera and cornea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공막 및 각막의 장애
[F65] Disorders of sexual preference - 성선호장애
[F94] Disorders of social functioning with onset specific to childhood and adolescence
- 소아기 및 청소년기에만 발병하는 사회적 기능수행장애
[E75] Disorders of sphingolipid metabolism and other lipid storage disorders
- 스핑고지질대사장애 및 기타 지질축적장애
[M68] Disorders of synovium and tendon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윤활막 및 힘줄의 장애
[K00] Disorders of tooth development and eruption - 치아의 발육 및 맹출 장애
[G50] Disorders of trigeminal nerve - 삼차신경의 장애
[H81] Disorders of vestibular function - 전정기능의 장애
[H43] Disorders of vitreous body - 유리체의 장애
[H45] Disorders of vitreous body and globe in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질환에서의 유리체 및 안구의 장애
[P08] Disorders related to long gestation and high birth weight
- 장기임신 및 고체중출산에 관련된 장애
[P07] Disorders related to short gestation and low birth weight,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단기임신 및 저체중출산에 관련된 장애
[N25] Disorders resulting from impaired renal tubular function
- 세뇨관기능손상으로 인한 장애
[P60]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of fetus and newborn
- 태아 및 신생아의 파종성 혈관내응고
[D65]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efibrination syndrome]
- 파종성 혈관내응고[탈피브린증후군]
[F44] Dissociative [conversion] disorders - 해리[전환]장애
[R20] Disturbances of skin sensation - 피부감각의 장애
[R43] Disturbances of smell and taste - 후각 및 미각 장애
[K57] Diverticular disease of intestine - 장의 게실병
[W16] Diving or jumping into water causing injury other than drowning or submersion
- 익사 및 익수 이외 손상의 원인인 물로 다이빙 또는 뛰어듬
[R42] Dizziness and giddiness - 어지럼증 및 어지럼
[Z52] Donors of organs and tissues - 기관 및 조직의 기증자
[M54] Dorsalgia - 등통증
[Q90] Down’s syndrome - 다운증후군
[B72] Dracunculiasis - 메디나충증
[W66] Drowning and submersion following fall into bath-tub
- 목욕통으로 떨어진 후의 익사 및 익수
[W70] Drowning and submersion following fall into natural water
- 자연수로 떨어진 후의 익사 및 익수
[W68] Drowning and submersion following fall into swimming-pool
- 수영장으로 떨어진 후의 익사 및 익수
[W65] Drowning and submersion while in bath-tub - 목욕통 안에 있는 동안의 익사 및 익수
[W69] Drowning and submersion while in natural water - 자연수 안에 있는 동안의 익사 및 익수
[W67] Drowning and submersion while in swimming-pool - 수영장 안에 있는 동안의 익사 및 익수
[Y21] Drowning and submersion, undetermined intent - 의도 미확인의 익사 및 익수
[N14] Drug-and heavy-metal- induced tubulo-interstitial and tubular condition
- 약물 및 중금속 유발 세뇨관-간질 및 세뇨관 병태
[Y51] Drugs primarily affecting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주로 자율신경계통에 영향을 주는 약제
[K26] Duodenal ulcer - 십이지장궤양
[R48] Dyslexia and other symbolic dysfunction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난독증 및 기타 상징적 기능이상
[R13] Dysphagia - 삼킴곤란
[N87] Dysplasia of cervix uteri - 자궁경부의 이형성
[G24] Dystonia - 근긴장이상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