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10] Abdominal and pelvic pain - 복부 및 골반 통증
[R03] Abnormal blood-pressure reading, without diagnosis
- 진단명 없는 혈압수치이상
[R83] Abnormal findings in cerebrospinal fluid - 뇌척수액의 이상소견
[R85] Abnormal findings in specimens from digestive organs and abdominal cavity
- 소화기관 및 복강 검사물의 이상소견
[R87] Abnormal findings in specimens from female genital organs
- 여성생식기관 검사물의 이상소견
[R86] Abnormal findings in specimens from male genital organs
- 남성생식기관 검사물의 이상소견
[R89] Abnormal findings in specimens from other organs, systems and tissues
- 기타 기관, 계통 및 조직 검사물의 이상소견
[R84] Abnormal findings in specimens from respiratory organs and thorax
- 호흡기관 및 흉부 검사물의 이상소견
[O28] Abnormal findings on antenatal screening of mother
- 산모의 출산전 선별검사의 이상소견
[R92] Abnormal findings on diagnostic imaging of breast
- 유방의 진단영상검사상 이상소견
[R90] Abnormal findings on diagnostic imaging of central nervous system
- 중추신경계통의 진단영상검사상 이상소견
[R91] Abnormal findings on diagnostic imaging of lung - 폐의 진단영상검사상 이상소견
[R93] Abnormal findings on diagnostic imaging of other body structures
- 기타 신체구조의 진단영상검사상 이상소견
[R25] Abnormal involuntary movements - 이상불수의운동
[R94] Abnormal results of function studies - 기능검사의 이상결과
[R74] Abnormal serum enzyme levels - 이상혈청효소수치
[R06] Abnormalities of breathing - 호흡의 이상
[O62] Abnormalities of forces of labour - 분만힘의 이상
[R26] Abnormalities of gait and mobility - 보행과 이동의 이상
[R00] Abnormalities of heart beat - 심장박동의 이상
[R71] Abnormality of red blood cells - 적혈구의 이상
[R72] Abnormality of white blood cell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백혈구의 이상
[K61] Abscess of anal and rectal regions - 항문 및 직장부의 농양
[J85] Abscess of lung and mediastinum - 폐 및 종격의 농양
[N91] Absent, scanty and rare menstruation - 무월경, 소량 및 희발 월경
[F55] Abuse of non-dependence-producing substances - 비의존성 물질의 남용
[L83] Acanthosis nigricans - 흑색극세포증
[V93] Accident on board watercraft without accident to watercraft, not causing drowning and submersion
- 익사 및 익수의 원인이 아닌 선박사고가 없는 선상사고
[V96] Accident to nonpowered aircraft causing injury to occupant
- 탑승자가 다친 무동력항공기 사고
[V95] Accident to powered aircraft causing injury to occupant
- 탑승자가 다친 동력항공기사고
[V90] Accident to watercraft causing drowning and submersion
- 익사 및 익수의 원인이 된 선박사고
[V91] Accident to watercraft causing other injury in rushed between colliding ships
- 기타 손상의 원인이 된 선박사고
[X45]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alcohol NOS
- 알콜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1]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antiepilepic, sedative-hypnotic, antiparkinsonism and psychotropic drug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항간질제, 진정제-수면제, 항파킨슨제, 정신작용제에 의한 불의의 중독
[X42]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narcotics and psychodysleptics[hallucinogen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마약 및 환각제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0]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nonopioid analgesics, antipyretics and antirheumatics
- 비아편유사진통제, 해열제 및 항류마티스제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6]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and halogenated hydrocarbons and their vapours
- 유기용제 및 할로겐화 탄화수소 및 그 휘발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9]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and unspecified chemicals and noxious substance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학물질 및 독성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4]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and unspecified drugs, medicaments and biological substances
- 기타 및 상세불명의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3]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drugs acting on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 자율신경계통에 작용하는 기타 약물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7]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other gases and vapours
- 기타 가스 및 물질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X48] Accidental poisoning by and exposure to pesticides
-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불의의 중독 및 노출
[W75] Accidental suffocation and strangulation in chair
- 침대에서의 우발적 질식 및 교액
[L70] Acne - 여드름
[Z89] Acquired absence of limb - 후천성 사지결여
[Z90] Acquired absence of organ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관의 후천성 결여
[M20] Acquired deformities of fingers and toes - 손가락 및 발가락의 후천변형
[D59] Acquired haemolytic anaemia - 후천성 용혈성 빈혈
[D60] Acquired pure red cell aplasia [erythroblastopenia]
- 후천성 순수적혈구무형성[적모구감소]
[A42] Actinomycosis - 방선균증
[I33] Acute and subacute endocarditis - 급성 및 아급성 심내막염
[F23] Acute and transient psychotic disorders - 급성 및 일과성 정신병장애
[K35] Acute appendicitis - 급성 충수염
[J21] Acute bronchiolitis - 급성 세기관지염
[J20] Acute bronchitis - 급성 기관지염
[B15] Acute hepatitis A - 급성 A형간염
[B16] Acute hepatitis B - 급성 B형간염
[J04] Acute laryngitis and tracheitis - 급성 후두염 및 기관염
[L04] Acute lymphadenitis - 급성 림프절염
[I21]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급성 심근경색증
[I40] Acute myocarditis - 급성 심근염
[J00] Acute nasopharyngitis[common cold] - 급성 비인두염[감기]
[N00] Acute nephritic syndrome - 급성 신염증후군
[J05] Acute obstructive laryngitis [croup] and epiglottitis
- 급성 폐색성 후두염[크룹] 및 후두개염
[K85] Acute pancreatitis - 급성 췌장염
[I30] Acute pericarditis - 급성 심장막염
[J02] Acute pharyngitis - 급성 인두염
[A80] Acute poliomyelitis - 급성 회색질척수염
[D62] Acute posthaemorrhagic anaemia - 급성 출혈후 빈혈
[N17] Acute renal failure - 급성 신부전
[J01] Acute sinusitis - 급성 부비동염
[J03] Acute tonsillitis - 급성 편도염
[N10] Acut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 급성 세뇨관-간질신장염
[J06] Acute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of multiple and unspecified sites
- 다발성 및 상세불명 부위의 급성 상기도감염
[E25] Adrenogenital disorders - 부신생식기장애
[M83] Adult osteomalacia - 성인골연화증
[J80]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성인호흡곤란증후군
[T78] Adverse effects,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유해작용
[B56] African trypanosomiasis - 아프리카파동편모충증
[Y55] Agents primarily acting on smooth and skeletal muscles and the respiratory system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주로 평활근 및 골격근과 호흡계통에 작용하는 제제
[Y44] Agents primarily affecting blood constituent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주로 혈액성분에 영향을 주는 제제
[Y52] Agents primarily affect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주로 심혈관계통에 영향을 주는 제제
[Y53] Agents primarily affecting the gastrointestinal system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주로 위장계통에 영향을 주는 제제
[Y54] Agents primarily affecting water-balance and mineral and uric acid metabolism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주로 수분균형과 무기물 및 요산 대사에 영향을 주는
[D70] Agranulocytosis - 무과립구증
[J66] Airway disease due to specific organic dust - 특정 유기물먼지에 의한 기도질환
[K70] Alcoholic liver disease - 알콜성 간질환
[L23] Allergic contact dermatitis - 앨러지성 접촉피부염
[L63] Alopecia areata - 원형 탈모증
[G30] Alzheimer’s disease - 알츠하이머병
[A06] Amoebiasis - 아메바증
[E85] Amyloidosis - 아밀로이드증
[D55] Anaemia due to enzyme disorders - 효소장애에 의한 빈혈
[D63] Anaemia in chronic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만성 질환에서의 빈혈
[Y70] Anaesthesiology devices associated with adverse incidents
- 유해사건과 관련된 마취장치
[Y48] Anaesthetics and therapeutic gase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마취제 및 각종 치료용 가스
[Y45] Analgesics, antipyretics and anti-inflammatory drug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진통제, 해열제 및 항염증제
[L64] Androgenic alopecia - 안드로젠탈모증
[Q00] Anencephaly and similar malformations - 무뇌증 및 유사 기형
[I20] Angina pectoris - 협심증
[V80] Animal-rider or occupant of animal-drawn vehicle injured in transport accident
- 운수사고에서 다친 동물 또는 동물-견인차량 탑승자
[M45] Ankylosing spondylitis - 강직척추염
[A60] Anogenital herpesviral [herpes simplex] infection
- 항문생식기의 헤르페스바이러스[단순헤르페스]감염
[Q11] Anophthalmos, microphthalmos and macrophthalmos - 무안구증, 소안구증 및 대안구증
[Z36] Antenatal screening - 출산전 선별검사
[O46] Antepartum haemorrhage, NEC - 달리 분류되지 않은 분만전 출혈
[A22] Anthrax - 탄저병
[Y46] Antiepileptics and antiparkinsonism drugs causing adverse effects in therapeutic use
- 치료용으로 사용시 유해작용을 나타내는 항뇌전증제 및 항파킨슨제
[R34] Anuria and oliguria - 무뇨 및 핍뇨
[I71] Aortic aneurysm and dissection - 대동맥동맥류 및 박리
[L75] Apocrine sweat disorders - 아포크린땀샘장애
[A96] Arenaviral haemorrhagic fever - 아레나바이러스출혈열
[I74] Arterial embolism and thrombosis -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
[M14] Arthropathies in other diseases classified elsewhere
- 달리 분류된 기타 질환에서의 관절병증
[M18] Arthrosis of first carpometacarpal joint - 제1수근중수관절의 관절증
[Z93] Artificial opening status - 인공개구상태
[B77] Ascariasis - 회충증
[R18] Ascites - 복수
[E54] Ascorbic acid deficiency - 아스코르빈산결핍
[B44] Aspergillosis - 아스페르길루스증
[T71] Asphyxiation - 질식
[X92] Assault by drowning and submersion - 익사 및 익수에 의한 가해
[Y00] Assault by blunt object - 둔한 물체에 의한 가해
[Y04] Assault by bodily force - 완력에 의한 가해
[X86] Assault by corrosive substance - 부식성 물질에 의한 가해
[Y03] Assault by crashing of motor vehicle - 자동차충돌에 의한 가해
[X85] Assault by drugs, medicaments and biological substances
- 약물, 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가해
[X96] Assault by explosive material - 폭발성 물질에 의한 가해
[X88] Assault by gases and vapours - 가스 및 휘발성 물질에 의한 가해
[X93] Assault by handgun discharge - 권총발사에 의한 가해
[X91] Assault by hanging, strangulation and suffocation
- 목맴, 교액 및 질식에 의한 가해
[X95] Assault by other and unspecified firearm discharge
- 기타 및 상세불명의 화기발사에 의한 가해
[X89] Assault by other specified chemicals and noxious substances
- 기타 명시된 화학물질 및 독성물질에 의한 가해
[Y08] Assault by other specified means - 기타 명시된 수단에 의한 가해
[X87] Assault by pesticides - 유해생물방제제(농약)에 의한 가해
[Y01] Assault by pushing from high place - 높은 곳에서 떠밀음에 의한 가해
[Y02] Assault by pushing or placing victim before moving object
- 피해자를 움직이는 물체앞에 밀거나 놓이게 하여 가해
[X94] Assault by rifle, shotgun and larger firearm discharge
- 라이플, 엽총 및 기타 소화기발사에 의한 가해
[X99] Assault by sharp object - 예리한 물체에 의한 가해
[X97] Assault by smoke, fire and flames - 연기, 불 및 불꽃에 의한 가해
[X98] Assault by steam, hot vapours and hot objects - 증기, 뜨거운 김 및 뜨거운 물체에 의한 가해
[X90] Assault by unspecified chemical or noxious substances
- 상세불명의 화학물질 또는 독성물질에 의한 가해
[Y09] Assault by unspecified means - 상세불명의 수단에 의한 가해
[J45] Asthma - 천식
[Z21] Asymptomatic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status
- 무증상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상태
[I70] Atherosclerosis - 죽상경화증
[L20] Atopic dermatitis - 아토피성 피부염
[I48] Atrial fibrillation and flutter - 심방세동 및 조동
[I44] Atrioventricular and left bundle-branch block - 방실차단 및 좌각차단
[L90] Atrophic disorders of skin - 피부의 위축장애
[A81] Atypical virus infections of central nervous system
- 중추신경계통의 비정형바이러스감염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는 대한민국에서 의무기록자료 및 사망원인통계조사 등 질병이환 및 사망자료를 그 성질의 유사성에 따라 체계적으로 유형화한 것으로, 모든 형태의 보건 및 인구동태 기록에 기재되어 있는 질병 및 기타 보건문제를 분류하는데 이용하기 위하여 설정한 것이다. 보건의료 현상을 파악하는 통계를 작성할 때 표준화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일관성 및 비교성 있는 자료를 확보한다.
세계보건기구에서 발표하는 국제질병사인분류 체계를 골격으로, 대한민국 실정에 맞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가 제정되어 있다.
최초로 질병분류가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제4차 개정 국제사인표를 채택하여 인구동태조사를 시작한 1938년부터이며, 이것이 광복절까지 그대로 사용되어 오다가 8. 15 이후 미군정하에서 제5차 개정 국제사인표(1938년)를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1949년 공보처에서 제6차 개정 국제질병사인표(1948년)의 원본을 입수하여 번역하던 중 625 전쟁으로 원본 및 기타 서류가 소실되었으며 그 후 1952년 11월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서태평양기구 보건 및 인구동태통계 회의에서 WHO 권고안을 재입수하고 여기에 한국 실정을 가미하여 처음으로 한국사인상해 및 질병분류를 제정하였다.
제1차: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통계청 전신)에서 제8차 개정 국제질병분류(1968년)에 따라 1973년 1월 1일 시행
제2차: 의학의 발전과 새로운 통계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제29차 세계보건총회에서 결정된 제9차 국제질병분류를 기초로 1979년 1월 1일 시행
제3차: 매 10년 개정의 원칙에 따라 제43차 세계보건총회에서 제10차 국제질병분류를 개정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함에 따라 1995년 1월 1일 시행
제4차: 세계보건기구의 제10차 국제질병분류 수정판을 작성하여 각 회원국에 적용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그 동안 어려운 한자용어로 되어 있던 질병용어를 알기 쉽고 현실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하여 2003년 1월 1일 시행
제5차: WHO에서 회원국에 권고한 ICD-10 변경 사항(’98~’05년) 반영, 신생물 형태분류를 ICD-O-2판과 3판 중 선택적으로 사용하던 것을 ICD-O-3판 기준으로 사용하여 KCD와의 상응체계를 정비하는 것을 내용으로 2008년 1월 1일 시행.
제6차: 질병코드 세분화하고, WHO의 ICD-10 변경 사항(’06~’08년)을 적용하며, 질병분류 용어의 변경사항을 반영.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등 의견 수렴 자문 및 국가통계위원회 심의로 확정.2011년 1월 1일 시행
제7차: WHO의 ICD-10 변경 사항을 적용하며(2014년), 한국의 다빈도 질병에 대한 세분화 분류를 정리하였으며, 또한 한의학 분류와 분류가능한 희귀질환 반영, 그리고 질병 용어를 정리하였으며,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
본분류는 대ㆍ중ㆍ소ㆍ세ㆍ세세분류의 단계적 분류체계로 구성 [대분류 22개, 중분류 267개, 소분류 2,093개, 세분류 12,603개, 세세분류 6,335개]
기타분류는 본분류 중 신생물에 대한 분류를 조직학적으로 분류